IP 프로토콜이란 ?
-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 송신 호스트와 수신 호스트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정보의 규약(프로토콜)
- OSI 네트워크 계층에서 호스트의 주소지정과 패킷 분할 및 조립 기능을 담당한다.
- 이를 편지로 비유한다면 인터넷 프로토콜의 관점에선 보내는 사람의 주소는 출발지의 IP, 받는 사람의 주소는 목적지의 IP, 그리고 편지안의 내용은 전송하고자하는 전송데이터로 볼 수 있다.
IP 프로토콜의 역할
- 지정한 IP 주소(IP Address)에 데이터 전달
- *패킷(Packet)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 전달
-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 데이터의 형식을 패킷이라는 하나의 블록 단위로 이루어서, 출발지 IP에서 목적지 IP까지 패킷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달한다.
IP 프로토콜의 한계점
- 비연결성
-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 불능 상태여도 패킷을 전송한다.
- 보내고자하는 대상 서버가 패킷을 받을 수 있는 상태인지 없는 상태인지를 보내는 입장에서는 알 수 없으므로 계속해서 패킷을 전송한다. - 비신뢰성
- 중간에 패킷이 사라져도 IP 프로토콜에서 전송하는 데이터가 정확하게 갔는지 확인하지 않는다.(패킷 전달 여부에 대해서 보증하지 않음)
- 패킷이 중간에 소실되어도 어쩔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 여러 개의 패킷이 전달되지만 순서를 보장해주지 않기 때문에 보낸 순서와 받는 순서가 다를 수 있다. - 프로그램 구분
- 같은 IP를 사용하는 서버에서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여러개일 경우 구분이 어렵다. (IP 주소는 해당 기기의 고유한 주소인데 해당 주소에서 여러개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분이 어려움)
이러한 IP 프로콜의 한계를 극복한 프로토콜이 *TCP 프로토콜이다.
출처
https://www.inflearn.com/course/http-%EC%9B%B9-%EB%84%A4%ED%8A%B8%EC%9B%8C%ED%81%AC/dashboard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강의 - 인프런
실무에 꼭 필요한 HTTP 핵심 기능과 올바른 HTTP API 설계 방법을 학습합니다., [사진] 📣 확인해주세요!본 강의는 자바 스프링 완전 정복 시리즈의 세 번째 강의입니다. 우아한형제들 최연소 기술
www.inflearn.com
https://dreamcoding.tistory.com/33
IP(인터넷 프로토콜)이란?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은 송신 호스트와 수신 호스트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사용하는 정보의 규약(프로토콜[약속과 같은 것])이며, OSI 네트워크 계층에서 호
dreamcoding.tistory.com
https://velog.io/@ssulv3030/%EB%84%A4%ED%8A%B8%EC%9B%8C%ED%81%AC-TCPIP-4%EA%B3%84%EC%B8%B5
네트워크: TCP/IP 4계층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internet protocol suite)는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쓰이는 프로토콜의 집합이며 이를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모델로 설명하거나 O
velog.io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 Checksum (검사합) (0) | 2023.12.30 |
---|---|
네트워크 | 패킷(Packet) (0) | 2023.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