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네트워크

네트워크 | Checksum (검사합)

by 2yy 2023. 12. 30.

 

Checksum

  • 중복 검사의 한 형태로, 데이터 송수간에 손상 여부를 확인 할 목적 (보안성은 보장되지 않음)
     1. 데이터를 전송할 때 송신 측에서는 체크섬 값을 계산하고 이 값을 데이터와 함께 전송한다.
     2. 데이터를 받는 수신 측에서는 송신 측에서 체크섬을 계산할 때와 동일한 알고리즘으로 체크섬을 계산한다.
     3. 만약 데이터를 수신하는 쪽에서 계산된 체크섬 값과 수신된 체크섬 값이 서로 다른 값이 나오면 에러가 발생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 송신된 자료의 무결성을 보호하는 단순한 방법으로,데이터의 오류 여부 확인 방법으로 널리 사용된다. 
  • 일정 자릿수를 정하고 범위를 넘는 자리 올림은 버려서 자릿수를 유지한다.
  • 수신 측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때 체크섬 계산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해당 패킷은 폐기되기 때문에 패킷을 전송할 때 정확한 체크섬 계산은 패킷을 만들어 전송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계산순서

 1. 데이터의 단위를 2바이트씩 나눈다.
 2. 만약 1바이트가 남았을 경우, 상위 자릿수에 0을 넣어 2바이트로 만든다.
 3. 데이터를 모두 2바이트 단위씩 더한다.
 4. 만약 자리올림(carry)이 발생할 경우, 이를 다시 하위 비트에 더한다.

 

 

 

 

 

 

 

 

출처

https://www.inflearn.com/course/%EC%99%B8%EC%9B%8C%EC%84%9C-%EB%81%9D%EB%82%B4%EB%8A%94-%EC%95%94%ED%98%B8%EA%B8%B0%EC%88%A0#

 

외워서 끝내는 SSL과 최소한의 암호기술 강의 - 인프런

인터넷의 안전을 책임지는 암호기술에 대해 아주 쉽게 외워서 끝낼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SSL인증서, PKI 기술, 디지털 서명, 공인인증시스템 등 다양한 기술의 구조와 원리를 이해할 수 있습

www.inflearn.com

https://hojak99.tistory.com/246

 

[네트워크] 체크섬 (checksum)

[체크섬] 체크섬은 중복 검사의 한 형태. 송신된 자료의 무결성을 보호하는 단순한 방법이다. 통신에서 CRC, 즉 순환 중복 검사를 체크섬이라고도 말하는데 엄밀히 따지면 체크섬은 나열된 데이

hojak99.tistory.com

https://whatdocumentary.tistory.com/7

 

체크섬(Checksum)

체크섬은 전송되는 헤더 및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기본적으로 데이터의 합으로 계산된다. 통신 프로토콜에서 헤더 및 운반 중인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는지 확

whatdocumentary.tistory.com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 패킷(Packet)  (0) 2023.12.21
네트워크 | IP 프로토콜  (0) 2023.12.21